앎의 공유 576

충무공 이순신 제독과 술

충무공 이순신 제독과 술 서상문(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해군발전자문위원) 술은 성서에 나와 있듯이 인류와 시원을 같이 한다. 술의 신 디오니소스가 오랫동안 광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실이 암시하지만 술이란 잘 마시면 약이 되고, 그렇지 못하면 독이 된다. 적당한 음주는 중추 말초 신경을 흥분하게 하고 위산과 도파민(dopamine)이라는 신경 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시켜 기분을 좋게 만든다. 반면 음주가 지나치면 판단력에 장애가 생기고, 말초신경이 둔해져 순발력이 떨어지고 행동도 둔해진다. 닭이 물을 먹을 때 한 모금 먹고 고개를 들었다가 다시 한 모금씩 마시는 모습을 상형화한 술 주(酒)자의 유(酉)가 닭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오후 5~7시의 뜻도 있듯이 술은 이 시간에 천천히 마시는 게 좋다는 ..

중국의 해양작전권 안에 들어간 이어도, 우리의 대응 무엇이 문제인가?

중국의 해양작전권 안에 들어간 이어도, 우리의 대응 무엇이 문제인가? 서상문(중앙대학교 강사) 지난 달, 남해 절해의 고도 이어도(離於島, 서구에는 Socotra Rock으로 통함)가 느닷없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중국측의 이어도 관련 언론플레이에 대해 우리 언론, 정치권과 국민이 ‘거국적’으로 과도하게 반응한 탓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이어도문제의 본질, 이어도에 대한 중국측의 전략과 의도, 그리고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어도는 해저광구 제4광구에 있는 우리나라 대륙붕의 일부로서 제주도 남서쪽의 한반도 최남단 마라도에서 81해리(149㎞), 중국의 최동단 섬인 퉁다오(童島)에서 133해리(247㎞), 일본의 도리시마(鳥島)로부터는 149해리(27..

監察과 査察

監察과 査察 서상문(사단법인 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민간인 査察로 온 나라가 들썩거린다. 총선과 맞물려 민심까지 출렁인다. 監察과 査察은 모두 한자다. 글자 한 자 차이지만 사회적 함의는 천양지차다. 監과 査의 어원과 출전을 살펴보면 監은 “보다”(爾雅), “위에서 아래로 눈을 크게 뜨고 보다”(說文), “거울삼아 비추어 보다”, “전례나 현재의 사정을 감안해 판단하다”(漢書)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監察은 “눈을 부릅뜨고 조사하다”, “감독하다”는 뜻으로서 황제 아래 각지 제후들을 감시하고(楚辭), 지방의 5郡을 감시한다(後漢書)는 의미를 지녔다. 또한 감찰직의 직위, 즉 監察御使처럼 “관(官)”을 가리켰다. 査는 “조사하다”의 뜻이 있어 査察은 “용의자를 자세히 문초”하거나 “신문”하고, “공죄..

중국 복건성 하문 학술조사 여행

중국 복건성 하문 학술조사 여행 1949년 10월에 발생한 금문전투 연구에 필요한 현장답사차 대만의 금문도를 다 본 뒤 배를 타고 그 대안의 하문으로 건너간 게 2011년 2월 하순이었으니 어느덧 강산이 한 번 바뀌는 세월이 흘렀다. 그 동안 정신 없이 살다 보니 세계 각국을 다니면서 구하거나 수집한 적지 않은 자료들을 정리하지 못한 채 구석에 놔두었다. 간간이 그 자료들 중 어떤 것은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려 놓은 것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손도 대지 못한 상태다. 당시 금문도와 하문 두 곳을 다니면서 수집한 자료들도 아직 정리하지 못한 상태다.

중국의 대북 영향력과 한민족의 미래 국가이익

중국의 대북 영향력과 한민족의 미래 국가이익 서상문(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최근 중국이 대북 영향력의 한계를 시인했다. 북한이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하겠다고 하자 “북한은 말을 듣지 않고, 소통도 안 되며, 예측하기 어려운 존재”라고 실토한 것이다. 사실 중국의 대북 영향력은 애초부터 제한적이었다. 한중수교가 체결된 1992년 이래 역대 정부와 많은 전문가들이 이 점을 인식하지 못했을 뿐이다. ‘햇볕정책’과 ‘비핵 개방 3000구상’은 북한의 존재를 달리 규정하는 두 시각을 대변한다. 그러나 중국이 가진 대북영향력을 깜냥보다 더 높이 평가하고 어떻게든 이를 활용하려고 한 점은 공통적이다. 전자는 미국의 대북 억제력에 기대기보다 중국이 북한에게 대화에 나서도록 압력을 행사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후자는..

제주평화연구원 초청 강연 "한국전쟁의 국제정치적 의의와 현재적 함의"

제주평화연구원 초청 강연 : 한국전쟁의 국제정치적 의의와 현재적 함의 서상문(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중국근현대사) 목 차 1. 김일성, 스탈린, 毛澤東의 전쟁결정 과정 2. 국제정치적 의의Ⅰ: 전쟁억지력으로 작용한 미국의 존재 3. 국제정치적 의의Ⅱ: 동맹의 순기능과 역기능 공존 4. 국제정치적 의의Ⅲ: 외교적 대화와 신뢰의 중요성 확인 5. 현재적 함의Ⅰ: 한반도통일기회 무산요인으로서의 중국의 참전 6. 현재적 함의Ⅱ: ‘위장평화’와 ‘소망평화’의 위험성 교훈 7. 현재적 함의Ⅲ: ‘53년 체제’의 형성 8. 과제 : 전쟁기억의 회복과 국내외 쌍방향 평화체제 구축 내용 요지 1. 김일성, 스탈린, 毛澤東의 전쟁결정 과정 가. 김일성의 남침의지와 스탈린의 동의거부 ○ 북한의 전쟁준비 -김일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