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3

올림픽 메달색 차이의 사회학

올림픽 메달색 차이의 사회학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1936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경기에 일장기를 달고 출전한 손기정과 남승룡. 2시간 29분 19.2초의 세계신기록과 2시간 31분 42초로 각기 1위와 3위 입상자로 시상대에 선 이들은 악랄한 일제에 저항하듯 고개를 떨군 채 침묵했다. 승리의 월계관을 머리에 썼지만 입상자답지 않은 두 사람의 침울한 모습은 지금 봐도 비감을 자아낸다. 손기정은 우승자에게 준 작은 묘목으로 가슴의 일장기를 가릴 수 있었고 남승룡은 그렇지 못했다. 하지만 분명 둘 다 민족의 울분을 한 방에 날려버린 대한의 철각들이었다. 그런데 개인사적으론 두 사람은 1위와 3위로 골인한 순간부터 인생에서 시상대 높낮이 보다 더 한 명암이 갈리기 시작했다. 극명하게 대비되..

일본이 21세기의 '지팡구'가 되려면

일본이 21세기의 ‘지팡구’가 되려면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13세기 이탈리아인 마르코폴로는『동방견문록』에서 일본을 ‘지팡구’(Jipangu)로 소개했다. 그가 일본은 “막대한 금을 생산하고, 궁전이나 민가는 황금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재보가 넘쳐난다”고 기록한 덕에 지팡구는 한 때 서구인들에게 미지의 동경지로 인식된 바 있다. 지난 13일 일본의 후루카와 모토히사(古川元久) 국가전략상이 일본에 살고 싶고, 일본을 찾고 싶게 하는 “21세기의 ‘지팡구’로서 세계로부터 동경받는 일본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후루카와의 바람대로 일본이 세계인이 찾는 지팡구가 되려면 먼저 일본을 안전한 나라로 만듦과 동시에 주변국과 세계인이 믿을 수 있는 국가가 돼야 한다. 잦은 지진과 작년 3월의 후쿠시마 원전 ..

논리학과 수사학 ‘열공’이 필요한 사람들

논리학과 수사학 ‘열공’이 필요한 사람들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1 그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민주화 주장이 지나치면 우물안 개구리신세가 될 수 있고”, 경제를 “북한식으로 우물안 개구리처럼 할 순 없다”고 했다. 또 “재벌기업이 규제를 받으면 중견, 중소기업이 대체해줘야 하는데 외국기업이 들어와 혜택을 받는다”고 했다. 이 발언은 논리적으로 지나친 경제민주화주장=우물안 개구리=북한식경제, 재벌규제=외국기업혜택=재벌규제불필요로 등식화돼 있고, 현정부가 경제민주화를 정상적으로 해온 것처럼 전제하고 있다. 이 논리에 따르면 경제민주화를 외치면 곧 북한경제정책 주장자가 되며, 재벌을 규제하면 외국기업이 혜택을 보기 때문에 재벌을 규제해선 안 되는 것이다. 이 어법은 주무장관이 헌법(119..

6․25전쟁 피해자의 통한, 겨레의 통한

6․25전쟁 피해자의 통한, 겨레의 통한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올해도 어김없이 “6․25사변”일이 돌아왔다. 광기의 집단행위인 전쟁은 파괴와 살상이 수반되고, 적개심으로 수행된다. 1950년 김일성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은 동족상잔이었다. 그렇기에 당한 우리의 적개심은 더욱 크다. 불시에 침략을 받아 숱한 부모형제, 처자식과 전우들이 죽어갔고, 천만 명이 생이별을 당했으니 철천지원수가 될 수밖에 없다. 온갖 신산한 고초를 겪은 전쟁피해자는 전쟁발발 후 60여년이 지나도 참상을 잊지 못한다. 단장의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고 있다. 어쩌면 무덤까지 갖고 갈 기억이요, 내상일 수 있다. 북한은 사죄는커녕 연평해전, 천안함공격으로 상처를 덧나게 했다. 이들의 대북 분노와 적개심이 누그러뜨려..

자살률 세계 최고의 한국, 무엇이 문제인가?

자살률 세계 최고의 한국, 무엇이 문제인가?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자살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구의 고교생 투신자살이 엊그제였는데 또 한 사람의 연예인이 세상을 하직했다. 쌍용자동차 파업자의 자살은 22명 째다. 이렇게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이 매년 1만 명 이상 우리 곁을 떠나고 있다. 한국인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31.2명으로 세계 2위다.(2009년, 세계보건기구 발표). OECD국가 중엔 단연 1위다. 왜 한국사회는 자살이 잦을까? 무엇이 문제일까? 한국인의 자살원인은 성별, 세대별로 다르지만, 10대에서 60대 이상 세대에 이르기까지 세대별로 학교폭력과 왕따, 입시경쟁에 따른 학업 과부하와 불안, 미취업, 실직과 누적된 빚, 가정파탄, 노후불안정, 질병과 고독 등이 겹..

개항 50돌 포항항, 새로운 50년은 문화수출항으로

개항 50돌 포항항, 새로운 50년은 문화수출항으로 서상문(한민족미래재단 이사) 포항항이 그저께 무역항 개항 50돌을 맞았다. 사람으로 치면 지천명(知天命)의 나이다. 온 시민과 함께 축하할 경사다. 포항항은 양항으로서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 ‘연오랑과 세오녀’기록이 말해주듯 고대부터 포항은 일본, 중국과의 문물, 기술교류의 중추 역할을 해온 동해안의 해상관문이었다. 오늘날도 포항항은 환동해경제권의 중심축으로서 국가 경제성장에 숨은 역할을 하고 있다. 포스코의 철강원료 및 제품 수송에 힘입어 현재(2011년 기준) 하역능력 8,665만 톤(전국 5위), 선박 54척이 동시에 접안 가능한 140만 톤 이상의 접안능력이 입증한다. 다가올 반세기는 포항항이 물동량을 중시하는 무역항 차원을 넘어 문화수출항으..

중국의 만리장성은 엿가락인가?

중국의 만리장성은 엿가락인가?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만리장성은 엿가락인가? 10여년 전 내가 찾은 만리장성 입구의 장성박물관에는 분명 현 장성의 모습이 갖춰진 시기는 명대였고, 길이는 동쪽 허베이성의 산하이관(山海關)에서 서쪽 간쑤성의 자위관(嘉峪關)에 이르는 6,352㎞라고 소개돼 있었다. 이것이 중국역사학계의 정설이었다. 그런데 2009년 4월 중국은 만리장성의 동단 출발기점을 산하이관에서 랴오닝성 압록강 대안의 단둥(丹東)으로 연장해 8,851㎞라고 왜곡했다. 이번엔 서단을 자위관에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하미(哈密)까지, 동단을 단둥에서 헤이룽장성 무단장(牧丹江)까지 더 넓혀 2만1,196㎞로 늘여 ‘사만리장성’으로 둔갑시켰다. 이번에 늘린 지린성과 헤이룽장성 일대 허구의 ‘장성’은 ..

중국국방부 및 중국우호연락회 주최 학술대회 참석(2002년 5월)

중국국방부 및 중국우호연락회 주최 학술대회 참석(2002년 5월) 방문단(조성태 전 국방부 장관, 김인종 전 2군사령관, 권해조 장군, 황병무 국방대 교수, 김진욱 21세기 군사연구소 소장, 백승주 박사 등) 일행과 함께 북경교외의 용경협 관광 츠하오톈 중국 국방부장 주최 오찬 전 국방부청사에서 단체 기념촬영 '동북아 안전정세와 중한관계'라는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마친 뒤 참석자 전원 기념촬영 중국국방부 청사 공식방문. 눈을 감고 있는 본인의 앞에 선 이가 츠하오톈 당시 중국국방부장, 그 옆이 조성태 전 국방부장관 중국국방부 청사 내에 열린 만찬. 중국우호연락회 고위 간부의 환영사. 그 좌측 옆으로 서상문 본인, 김진욱 21세기군사연구소 소장, 츠하오톈 중국국방부장, 조성태 전 국방부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