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3

어느 고위 관료 출신 정치인의 기억력

어느 고위 관료 출신 정치인의 기억력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전통시대 중국과 조선에서 국가인재를 선발하는 공식적인 등용문은 과거였다. 유교적 교양을 갖춘 지식인이 과거시험을 통해 국가관료로 선발되던 이 시대엔 관료가 곧 정치인이었다. 그를 흔히 사대부(士大夫)라고 한다. 사는 선비, 대부는 출사한 관료를 가리켰다. 유교가 가진 사회통합의 종교적 기능과 국가통치의 정치권력에다 국가의 녹을 받아 부까지 보장받던 ‘미분화된 사회’(fused society)에서 과거에 급제하면 이 세 권능이 한 몸에 주어졌다. 오늘날 한국과 중국이 입시지옥이랄 정도로 교육열이 높은 역사적 배경이다. 과거급제는 당사자의 입신양명에 그치지 않고 전체 ‘가문의 영광’인데다 진사 경쟁률이 3천 대 1정도(명청대)였던 만큼 ..

일본방위청 방위연구소 전사부 초청 학술대회 참석 논문 발표

일본방위청 방위연구소 전사부 초청 학술대회 참석 논문 발표 일시 : 2005년 12월 8~11일 장소 : 일본 동경 방위연구소 전사부 강당 주관 : 일본방위청 방위연구소 전사부 주제 : 한국전쟁 관련 발표논문 :「지정학적 관점에서본 毛澤東의 한국전쟁개입동기」 논문 구성 : 序言 Ⅰ. 韓半島에 대한 ‘脣亡齒寒’關係의 再認識 Ⅱ. 國家安保를 考慮한 自救策의 先制 發動 Ⅲ. 國內 政治的 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國外 戰場化 結言 논문요지 : 본고의 결언으로 대신한다. 결언 정권장악 후부터 중국의 국가이익을 우선시하는 현실주의자로 입장을 바꾼 모택동은 주변국과의 관계에 대해서 과거 역대 중국왕조들이 중시해온 중국인 특유의 지정학적 안보관, 즉 이른바 ‘脣亡齒寒’관계로 인식했다. 순망치한의 관점에서 중국에게는 북한에..

인도 다람살라 티베트 망명정부 방문

인도 다람살라 티베트 망명정부 방문 기 간 : 2011년 2월 ~일(13박 14일) 여행지 : 인도(뉴델리, 사르나트, 바라나시, 아고라, 자이푸르, 다람살라) 중국의 국경전쟁 저서 중 주요 파트가 된 중국의 티베트 점령을 연구 집필하기 위해 필요한 티베트 측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었다. 달라이 라마 성하를 예방해보려고 했지만 사전에 승락을 받지 못해 불가능했다. 달라이 라마의 대중국 원칙을 부정해온 중국에 대한 다람살라 망명정부의 입장을 들어보기 위해 이곳 정부의 총리를 만나기 위해 찾아 갔으나 한 발 늦었다. 티베트에서 건너온 티베트인의 일부가 모여 살고 있는 인도 북부지역에 시찰 가서 사흘 후에 온다고 해서 아쉽게 만나지 못했다. 이틀 뒤에는 우리가 귀국하는 날이어서 일정을 미루면서까지..

중국공산당 창당 제90주년 기념 중공당사학회 주최 中共創建史國際學術硏討會 논문발표

중국공산당 창당 제90주년 기념 중공당사학회 주최 中共創建史國際學術硏討會 논문발표 1. 일시 : 2011년 6월 14~17일 2. 장소 : 中共 上海浦東幹部學院 대강당 3. 주최 : 中國中共黨史硏究室, 中共上海市委黨史硏究室, 上海浦東幹部學院, 上海中共黨史學會, 中共1大 會址紀念館 공동(중국공산당 중공당사학회연구실, 중공당사연구실, 중공 상해포동 간부학원, 중공 '1대 전국대표대회'기념관) 4. 주제 : 중국공산당 창당사 관련 5. 참석자 : 중국 국내 중공당사 전문학자들, 한국, 미국, 일본에서 초청된 전문학자들 약 100여 명 6. 본인이 발표한 논문 주제 : 「论列宁政权对亚洲以及对中国认识:持续与变化」 (레닌 정권의 대 아시아 및 대 중국 인식 : 지속과 변화)

자유대한지키기 국민운동본부 초청 한국전쟁 강연

중국의 대북 군사개입 가능성 대비해야 written by. 최경선 자국본, 6.25 60주년 맞아 전쟁 발발 원인과 교훈 되새겨 “6.25에서 북한을 살려주었고 ’61년에는 북·중동맹을 맺어 한·미동맹에 대응해 주고, 싫어하는 부자세습까지 인정해 주었다. 그만큼 북한은 중국에게 빚을 지고 있다. 때문에 북한에 문제발생시 중국은 반드시 지분을 주장하며 개입할 수 있다.” 6.25전쟁 60주년을 앞두고 전쟁 발발의 원인과 교훈을 되새겨 보는 강연회에서, 중앙대 서상문 교수는 6.25 교훈의 하나로 중국의 대북 군사개입 가능성을 우려하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중앙대 서상문 교수가 '6.25전쟁의 발발 원인과 교훈'에 대해 강연을 하고 있다. ⓒkonas.net 목사님들과 예비역 고급장교 출신, ..

이렇게 맛있는 어묵은 처음 봤다!

이렇게 맛있는 어묵은 처음 봤다! 어묵을 싫어하지 않는 이는 드물 것이다. 나도 좋아한다. 어릴 때부터 시장 안 우리 집 옆이 어묵을 직접 만드는 가게였다. 가끔씩 어묵 만드는 일을 도와주면서 다양한 종류의 어묵을 먹어봤다. 그런데 지금까지 먹어본 그 어떤 어묵 보다 넘버 원 어묵을 발견했다. 우연히 동소문동 시장을 지나다 본 것이다. 그냥 지나치려다 보기만 해도 맛있을 것 같아 먹어봤더니 이처럼 맛있는 어묵은 처음 먹어보게 된 것이다. 주인에게 맛의 비결을 물었더니 어묵재료에 채소 등의 재료를 섞어 재반죽을 해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튀긴 기름도 좋은 듯 고소하기기 이를 데 없다. 가게는 동소문 시장 안에 있다. 가게가 번창하길 빈다. 왠지 가던 걸음이 경쾌해진다. 2012. 5. 5 동소문시장에서 雲靜

맛있는 칼국수 한 그릇의 행복

맛있는 칼국수 한 그릇의 행복 나는 밀가루 음식을 좋아한다. 면을 좋아하는 걸 아신 어느 스님이 나더러 출가하라고 권했을 정도로 좋아한다. 어릴 적부터 자주 먹어왔고, 지금도 즐겨 먹는다. 그래서 국수, 수제비 등의 맛을 좀 안다. 볼일 보러 동소문시장 근처에 갔다가 우연히 시장에서 어묵을 맛있게 먹고 볼 일을 보고 돌아오는 길은 가랑비가 내리고 있었다. 비가 와서 약간 으스스한 데다 조금 출출해서 주위를 둘러보니 칼국수집이 눈에 띈다. 잴 것 없이 바로 들어가서 한 그릇 주문해서 먹어봤더니 맛도 있고 값도 너무 저렴하다. 평소 좋아하는 음식을 싸고 맛있게 한 그릇 비우고 나니 세상에 부러울 게 없다. 불만은 있을 리도 없다. 이 순간 만큼은 더 이상 원하는 것도 없다. 행복은 이런 마음의 상태일 것이다..

25여년 만에 다시 잡은 유화붓

25여년 만에 다시 잡은 유화붓 대학 졸업 후 25년 만에 붓을 잡아봤다. 짬 나는 대로 그림을 그려봐야겠다는 생각이 불현듯 들자 즉각 화구 일체를 장만해오던 날부터 바로 그리기 시작했다. 이 그림은 굳어 버린 손을 풀기 위해 우선 태평양상의 고도 괌의 석양 풍광을 찍은 사진을 보고 모사해 본 것이다. 오랫만에 그리니 예상대로 색감도 옛날처럼 나오지 않고, 스킬도 예전 같지 않다. 계속 그리다 보면 좀 나아지려나? 2012. 5. 5 雲靜

‘동해·일본해’병기 방침 바꿔 5년 뒤를 대비해야

‘동해·일본해’병기 방침 바꿔 5년 뒤를 대비해야 서상문(세계 한민족미래재단 이사) 제18차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즉 IHO) 총회가 지난 주 폐막됐다. 예상했던 대로 일본이 ‘일본해’ 단독표기를 고수함에 따라 한국 정부가 주장한 ‘동해․ 일본해’ 병기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로써 세계 도처의 바다명칭이 새로 수록될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제4차 개정은 2017년의 차기 총회로 미뤄졌다. 그런데 단언하건대 일본은 5년 뒤에도 ‘일본해’ 단독 표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는 기존 방침을 바꿔야 한다. 지금까지는 국제사회에서 80년 이상 ‘일본해’로 표기되어온 점 때문에 ‘동해’ 단독표기는 어렵다는 판단 하에 ‘동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