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38

9월 15일 오늘의 역사 簡介

9월 15일 오늘의 역사 簡介음력으론 8월 한가위 직전이지만 양력으로 9월 15일인 오늘은 역사상 몇 가지 중요한 일이 있었다. 내가 주목하는 첫째가 527년(신라 법흥왕14)년 오늘, 법흥왕이 이차돈의 순교(이차돈 23세)로 불교를 공인한 사실이다.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처음 들어온 게 고구려 시대 소수림왕 372년이었다고 하지만 이 보다 조금 더 이른 360년대(지순도림 관련 설)였다. 암튼 불교는 382년에 백제에도 전해졌는데, 신라에는 약 150년 가까이 늦게 전해졌다. 불교가 신라에는 왜 이렇게 늦었는지 그에 대한 배경과 원인은 차후에 자세하게 논할 기회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 여기선 불교가 한반도에 들어와서(특히 신라에서) 고등종교로 작동하면서 일반 사람들의 지적 수준이 높아..

한국 외교와 독도

한국 외교와 독도나는 독도의 역사와 한일관계역사에 밝은 편이다. 지금까지 독도 관련 글은 물론이고 일본 역사와 한일 관계에 대해서도 글을 많이 썼고, 해외학계에 논문도 발표했을 뿐만 아니라 이 주제로 강연도 제법 했다. 과거 한창 시절엔 독도 관련 시민단체에서도 활동한 바 있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우리가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언젠가는 일본에게 뒷덜미를 잡힐 것이다. 일반인들은 잘 모를 수 있지만 우리가 “한일친선”이니 “한일 협력”이니 어쩌고 하는 사이 벌써 많은 것들이 일본에게 야금야금 침범 당해서 비수가 목 밑에까지 와 있는 형국이다. 또 한번 이야기하지만 우리가 북핵 문제와 김정은 정권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처럼 일본에게 비위를 맞추면서 이것저것 많은 걸 양보하지 않아도 북한문제에 관한 한 일본..

종교간 갈등의 해결과 대화의 실마리: 예수는 부처의 제자였다!

종교간 갈등의 해결과 대화의 실마리: 예수는 부처의 제자였다!예수가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인도로 가서 불교의 선지식인들 밑에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았다는 얘기가 사실이었다는 것을 접한 게 내가 젊은 시절, 그러니까 대략 1980년대 중반이었다. 그 시절 민희식이라는 경희대 교수의 책에서 읽었다. 민 교수는 프랑스에서 유학한 불어불문학 전공자로서 프랑스 학자가 쓴 책을 한국어로 번역한 책이었다. 그 책엔 예수의 인도 불교 구법 사실이 자세하게 소개돼 있었다. 그 시절 한국엔 종교간의 갈등이 심하지 않았던 데다, 군사독재정권에 저항한 민주화투쟁이 시대정신이었기 때문에 사람들도 이 주제보다 민주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 때였다. 그래서 그랬던지 민 교수의 이 책은 사람들에게 더 이상 어필되지 못하고 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