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5일 오늘의 역사 簡介
음력으론 8월 한가위 직전이지만 양력으로 9월 15일인 오늘은 역사상 몇 가지 중요한 일이 있었다.
내가 주목하는 첫째가 527년(신라 법흥왕14)년 오늘, 법흥왕이 이차돈의 순교(이차돈 23세)로 불교를 공인한 사실이다.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처음 들어온 게 고구려 시대 소수림왕 372년이었다고 하지만 이 보다 조금 더 이른 360년대(지순도림 관련 설)였다. 암튼 불교는 382년에 백제에도 전해졌는데, 신라에는 약 150년 가까이 늦게 전해졌다. 불교가 신라에는 왜 이렇게 늦었는지 그에 대한 배경과 원인은 차후에 자세하게 논할 기회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 여기선 불교가 한반도에 들어와서(특히 신라에서) 고등종교로 작동하면서 일반 사람들의 지적 수준이 높아졌고, 문화도 세련되기 시작하면서 귀족화되고 정치 세력화 되는 장단점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백성의 지력이 높아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 점은 불교가 백제에서 일본으로 들어가서 고대 미개상태의 일본사회를 고등화된 수준으로 개선시킨 것과 동일한 맥락이다.
둘째로 주목되는 건 9월 15일 오늘이 인천상륙작전기념일이라는 점이다. 1950년 오늘 성공확률이 500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대해온 미 합참 지도부의 우려 속에 맥아더 원수가 해군 함정 261척, 병력 7만 5천여명을 투입한
인천상륙작전을 단행 성공시켜 전황을 일거에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시켰다. “크로마이트작전”이라 명명된 이 상륙작전의 성공으로 한국군과 미군은 인천과 서울을 수복해서 수많은 시민들을 북한군 치하의 학정에서 구했을 뿐한 아니라 낙동강 이북의 북한군을 포위하고 퇴로를 차단해 공세이전의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그간 북진을 반대해왔던 트루먼 대통령 등 워싱턴의 미국 수뇌부가 북진을 승락하게 되는 계기가 됐다.
그런데 같은 시기 중국의 모택동은 6월 말 맥아더가 한강방어선을 시찰하고 상륙작전을 머리속에 구상하던 시기인 7월 초에 이미 인천상륙작전을 예상하고 북경에 파견된 북한의 특사 이상조를 통해 김일성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미군의 인천 상륙작전에 대비하라고 했지만 김일성은 모택동의 말을 듣지 않고 낙동강 방어선 허물기에 올인하다고 결국 일패도지 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서 여담이지만, 중국에선 위 사실을 논한 나의 학술논문이 중국학계에 발표되기 전인 2000년 전까지는 인천상륙작전을 최초로 예견한 이는 모택동이 아니라 주은래의 군사 참모 뇌영부라는 사람이었다는 것이 정설처럼 돼 있었다. 그런데 그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나의 논문이 발표되고 난 후에 뇌영부는 중국의 인터넷 매체에도 소개된 나의 이 논문을 봤는지 새로 회고록 개정판을 내면서 나중에 알고 보니 모택동이 먼저 발견했었다라고 수정했다. 공을 가로채려고 하다가 나의 논문으로 인해 이뤄지지 못하게 된 것이다. 중국이든 한국이든 자기 공을 과대하게 부풀리거나 남의 공까지 훔치는 공명심과 명예욕에 빠져 사실을 사실대로 말하지 않고 왜곡하는 자들이 생각 보다 많다.
https://suhbeing.tistory.com/m/1752
세번째로 눈길이 가지는 것은 1993년 오늘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으로부터 프랑스가 병인양요 때 약탈해가서 프랑스도서관에 소장했던「휘경원원소도감의궤(徽慶園園所都監儀軌)」상권을 영구임대 형식으로 돌려받았는데 프랑스가 우리의 이 문화재를 돌려주면서 내세운 명분이 가관이라는 점이다. 한국정부가 고속전철 차종을 프랑스의 떼제베(TVG)로 결정해준 데 대한 보답이라나! 사실, 19~20세기 제국주의시대 서구 열강들이 아프리카, 아시아, 남미 등지에서 식민지 쟁탈 경쟁을 벌일 때 가장 가장 많은 식민지를 거느린 나라가 영국이었지만 식민지 민족들에게 가장 악랄하게 착취하고 못된 짓을 많이 한 것은 프랑스인이었다. 이것은 식민지사 학계에 익히 알려진 정설이다.
자기 조상이 조선의 문화재를 도둑질해 가 놓고 우리 정부가 반환 요청을 해도 오랫동안 돌려주지 않다가 떼제베를 선택하도록 하는 조건의 하나로 활용했다는 건 참으로 몰염치한 짓이었다. 프랑스가, 프랑스인이 예술을 사랑하는 국가, 국민이라고? 예술을 사랑한다고 자부하는 프랑스인들이 전부는 그런 건 아니지만 국가 차원에서는 못된 짓을 많이 한 나라가 바로 프랑스이고 염치나 도리를 지키기 보다 이익을 우선시하는 게 프랑스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공통성이다.
이 참에 또 한 가지 더 언급하겠는데, 우리나라 역사교육도 국민들이 역사를 전체적이고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도록 이루어져야 된다. 작은 예에 불과하지만, 우리에게 널리 각인된 “영국신사”라는 말은 영국 상류층 사람들이 교양 있는 행동을 보이니까 신사로 보여서 그렇게 명명했겠지만 그 사람들은 결코 신사들이 아니었다. 사람들이 전체를 보지 못하고 한 면만 본 결과였다. 영국이 해외 식민지 약소국에 행한 약탈과 만행의 온갖 짓거리들을 보면 상류층 사람들이 그 정부의 식민지 침략정책에 가담했거나 아니면 의회의 식민지 정책을 지지한 사람들이었을 것임에도 영국신사라는 칭호가 붙여졌던 것이다. 아마도 일본인들이 영국인들에 대해서 신사라는 호칭을 불러줬던 것이 조선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과거 1840년대 아편전쟁 이래 영국인에게 호되게 당해 반식민지 상태에까지 추락한 역사를 갖고 있는 중국인들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영국인을 영국 신사라고 부르지 않는다. 중국인들은 일본인들처럼 프랑스인들을 선진적 문화 국민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물론 그들은 다른 편견과 왜곤된 엉터리 역사인식 및 지식을 안고 주변 국가들은 바라보고 살고 있지만!
2024. 9. 15. 08:09
북한산 淸勝齋에서
雲靜 초고
![](https://blog.kakaocdn.net/dn/b8rHqK/btsMgMAOx8W/0iLevzLYdJOalE6NGZmUN0/tfile.jpg)
'앎의 공유 > 서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14일 오늘의 역사 簡介 (0) | 2025.02.13 |
---|---|
8월 30일 오늘의 역사 : 미국-아프가니스탄전쟁 종전, 고르바초프 사망 (0) | 2024.08.30 |
역사상식 : ‘세계혁명’이란 무엇인가? (0) | 2020.11.19 |
랑케 小稿 (0) | 2019.12.21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천재성은 어디서 왔을까? (0) | 201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