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의 공유/주요 언론 게재 글 내용

日 교과서 문제 치밀한 대응을

雲靜, 仰天 2012. 3. 30. 21:27

日 교과서 문제 치밀한 대응을 

 

서상문(독도찾기운동본부 홍보국장)

 

일본 정부는 극우단체인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제출한 교과서 등 2002학년도 일본 중학교용 역사교과서 8종의 최종 검정을 통과시켜 우리를 격분케 하고 과거 중국 정부에 한 약속도 저버렸다.

 

 

후소사(扶桑社)에서 찍어낸 이 교과서들엔 한국 관련 역사를 무더기로 왜곡시켜 놓았다. 예컨대 일본의 한국 침략강점을 "진출"한 것으로 기록한 것이나 혹은 창씨개명도 "한국인이 원해서 했다"는 식으로 기술해놓고 있다.

  

1972년 중일 수교 때 중국 지도부는 새로운 중일 관계의 정립을 위해 일본의 과거를 용서하고, 전쟁배상 청구권을 포기해 일본 국민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중국 정부는 그 대신 일본이 ‘침략전쟁으로 중국 인민에게 끼친 중대한 손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깊은 반성의 표시’를 하도록 요구해 이런 내용을 명문화 했다.

 

정치적 사정과 맥락은 다르나 대만 국민정부의 장제스(蔣介石)도 이보다 20년 전에 일본과의 평화조약 체결 시 ‘이덕보원(以德報怨)’의 관점에서 일본 정부에 전쟁 배상을 요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은 이번에 동북아의 평화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역사 뒤틀기로 중국 인민의 자존심을 짓밟고 역사의 시계바늘을 뒤로 돌리려 하고 있다. 이악보은(以惡報恩)인 셈이다.

  

향후 중국 정부는 중일 관계의 틀을 깰 정도의 급격한 대응은 자제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중국 흔들기’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을 끌어안아야 하고, 대만 독립을 저지하기 위해 일본과 대만의 밀착을 차단하면서 일본과의 경협을 확대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외교적 딜레마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일본 민중을 대상으로 과거사 진상 알리기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관련 학자를 동원하고 언론 매체를 활용함 대일 민간교류도 더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도 치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위 글은 2001년 4월 6일자『중앙일보』에 실린 칼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