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는가?/여행기 혹은 수필

"내 물고기야!" 다시 찾은 오어사(吾魚寺)

雲靜, 仰天 2021. 5. 7. 06:14

"내 물고기야!" 다시 찾은 오어사(吾魚寺)

 
처음 간 게 고등학교 3학년 가을이었으니 벌써 44년 전의 일이다. 석양을 뒤로 한 억새풀이 고개를 떨구고 늦가을 호수가 물비늘로 반짝거릴 때였다. 그 때 같이 간 친구는 배용식이라는 같은 반 동기였다. 이 친구는 지금 오어사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는 가까운 곳에서 사업을 하면서 잘 살고 있다.
 
그 후 드문드문 들렀던 포항 오천의 오어사를 이번에 다시 찾았다. 2018년 8월, 내가 10년 가까이 운영해오고 있는 환동해미래연구원이 구룡포에서 연 국제학술 세미나에 참석한 일본인 학자 일행들을 데리고 온 뒤 처음으로 찾았으니 약 3년 만이다.
 
雲梯山 맞은 편에 있는 오어사 경내로 들어서자 낯익은 법당과 전각들이 말 없이 나를 반긴다. 신록이 푸른 빛을 더해가고 물빛이 익어가는 것만 다른 모습이다. 예전에 내가 왔을 때는 주로 가을과 한 여름이었으니 말이다.
 
 

운제산에서 내려다 본 오어사 전경. 사찰 규모는 크지 않지만 역사가 긴 고찰로는 국내 유수의 절이다.
운제산에서 바라본 오어사 전경. 사진 왼쪽 맨 위쪽의 산 정상에 원효가 수행을 했다는 원효암이 보인다.

 
오어사는 신라 천년 고찰로 원효(617~686) 대사가 수도 정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절은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 때 창건된 1500년이나 되는 고찰인데, 오어사라고 불리기 전에는 본래 恒沙寺라고 불렸다. 원효가 기거했거나 수행을 한 절은 전국 각지에 제법 많다. 원효는 아마도 나와 비슷하게 역마살이 크게 낀 스님이었던 모양이다. 그러니 길게든 짧게든 그가 거처하지 않은 곳이 오히려 거처한 곳 보다 적을 지경이다.
 
오어사는 이 절에서 수도 중에 있던 두 스님이 누가 도력이 더 센지 겨뤄보자며 각기 이곳 사찰 앞 오어지에 살아 있는 물고기를 한 마리씩 먹고 똥을 싸니 살아서 움직여가는 물고기를 두고 서로가 "내 물고기!"라고 외치면서 싱갱이를 벌였다는 설화로 유명하다. 오어사라는 명칭의 유래로서 오랫동안 트레이드 설화가 돼 있을 정도다.
 
 

원효와 혜공 스님 간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물고기 설화를 설명해놓은 안내문

 
유치하기도 하고, 쓸데없는 이런 시합을 벌인 자는 원효와 惠公(?~?) 스님이었다. 두 사람은 산 물고기를 먹고 변을 봤을 때 물고기가 죽지 않고 똥으로 살아 나오는 사람이 도력이 높은 걸로 내기를 걸었다는 것이다. 이건 정말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에나 통하는 이야기다. 이 내용이 사실일까? 아니면 누가 지어낸 말일까? 지은 이야기라면 왜 지어냈을까? 이 설화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을까? 
 
살아 있는 생명체를 함부로 죽이는 것을 금지하는 계율을 지켜야 할 스님들이 물속에서 살아 퍼득거리는 물고긴 왜 잡아먹나? 아마도 짐작컨대 모든 음식들이 식물이나 동물 등 모두 이미 죽은 것을 먹기 때문에 살아 있는 것이 아니고서는 도력을 평가 할 수 없기 때문에 물고기를 내기의 증거로 택한 것 같다.
 
그것이 아니라면 당시는 어쩌면 스님들도 물고기나 육류를 먹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불교가 372년 소수림왕 2년 때 보다 몇 년 더 일찍 이미 고구려 땅에 들어와 있었고(지순도림 관련설), 이보다 조금 늦은 384년에 백제에도 동진의 마라난타를 통해 전래됐다고 한다. 그 뒤 신라에도 521년 중국 南朝의 나라 武帝가 보낸 승려 元表를 통해서 왕실에 불교가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서 백제에 불교를 전해 준 부견, 마라난타, 묵호자(墨胡子) 등등은 중동의 아랍인이었거나 인도 및 미얀마, 베트남 등지에서 건너온 소승불교 계열의 스님이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말이 안 된다고 그냥 일축해버려선 안 된다. 사학계에선 아랍인, 인도인, 유태인, 동남아인들도 한반도에 들어왔었다는 여러 가지 증거들이 제시되고 거론된 바 있기 때문이다.
 
바꿔 얘기하면, 신라에는 백제를 거쳐 남방불교가 들어 왔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남방 소승불교의 출가자들이 오늘날도 육식을 하듯이 이 영향을 받아서 당시 신라에선 스님들도 육식을 했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설사 신라에 소승불교가 들어오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내가 당시의 원효나 혜공이었다면 이렇게 제의했을 것이다. 살아 있는 물고기를 먹을 게 아니라 죽은 물고기 음식을 먹고 변을 봤을 때 먹은 물고기가 살아 나오는 자가 도력이 센 걸로 하자고 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콩나물 무침을 먹고 그것이 똥에선 살아서 꼿꼿이 서서 나오는 기적 같은 거 말이다. 
 
그런데 위 설화의 전거는 무엇일까? 이 이야기는 아마도 완전히 없던 얘길 지어낸 건 아니고 도력의 크기를 강조하느라 많이 부풀려졌을 것이라는 추측이 든다. 
 
新增東國輿地勝覽, 제23권(1611년)에 기록된 바로는 "세상에 전하는 말로 신라 때, 중 元曉가 惠公과 함께 물고기를 잡아서 먹다가 물속에 똥을 누었더니 그 물고기가 문득 살아났다. 그래서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내 고기’라고 말하고, 절을 지었는데 그로 인해서 그렇게 이름은 지었다”(世傳新羅釋元曉與惠空, 捕魚而食, 遺矢水中, 魚輒活指之曰"吾魚"。構寺, 因名)고 한다.
 
退堂先生詩集』, 卷之四에도 서너 자 문구만 다를 뿐 뜻은 같은 의미로 나와 있다. "세상에 전하는 말로 신라 때, 중 元曉와 惠公이 함께 물고기를 잡아서 먹다가 물속에서 똥을 누었더니 그 물고기가 문득 살아났다. 그래서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내 물고기’라고 말하고, 절을 짓고는 이름을 지었다.”(世傳新羅釋元曉與惠空。捕魚而食。遺矢水中。魚輒活。指之曰吾魚。構寺仍名。)

여기서 "내 물고기"는 한자로 옮기면 "吾魚"가 된다. 두 스님은 각기 "오어"라고 하지 않고 한국말로, 아니 신라말로 "내 물고기"라고 외쳤겠지만 한문으로 표기할 수밖에 없었던 당시로는 "吾魚"로 기록됐을 것이고, 이를 따서 사찰명이 된 것이다. 두 스님은 자연보호 관념은 하나도 없었던 모양이다! 더러운 똥을 왜 맑은 호수 물에다 싸나 말이다. 물론, 까마득한 옛날인 그 시절엔 환경보호 관념은 꿈에서도 생겨날 수 없던 때였긴 하지만...
 
그런데 그런 설화나 신화는 왜 현대사회에서는 일어나지 않는지 모르겠다. 현대사회에서 기적이 일어나는 것을 직접 두 눈으로 본 적이 있는가? 설화나 신화가 고대에만 발생한다는 건 모든 설화와 신화가 100% 허구이거나 많이 부풀려졌다는 사실을 증거한다.
 
오어사의 造營을 보면 이곳 역시 배산임수의 지세에 맞춘 사찰이다. 다만 절 앞에 보이는 오어지 맞은편에도 산이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형에서는 조금 비켜나 있는 셈이다. 가람배치는 정중앙에 위치한 본당인 대웅전이 남향으로 정문을 바라보고 있고, 그 양 옆으로 종무소, 기념관, 요사체 등의 여타 부속 건물들이 들어서 있는 대칭 구도로 조성돼 있다. 측문으로 들어오면 측문 안쪽에 서있는 아름다운 범종도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지세 및 영조와 가람배치가 어떻든 우리가 늦게 도착한 바람에 오어사 경내 불교기념관에 상설 전시돼 있는 보물(보물 제1280호의 동종)들을 장인 장모님께 보여드리지 못한 게 아쉽다. 또 오르내리기엔 시간이 조금 걸릴 거 같아서 원효 성사가 도를 닦았다고 전해지는 절 뒷산의 원효암에 올라가보지 못한 것도 아쉽다. 다음을 기약할 수밖에 없다.



 
오어사 범종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졌지만 신라시대의 범종 양식과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데 1995년 11월에 절 앞의 오어지 저수지 공사 중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종의 둘레 표면에는 보살 모양의 天衣 옷자락이 휘날리는 비천상을 비롯하여 섬세한 문양들이 새겨져 있고 조형미가 뛰어나다. 이참에 범종에 관해 상식 한 마디 더하면, 범종은 중국, 일본, 대만 등 다른 나라에도 있지만 세계에서 한국 종이 독보적으로 가장 아름답고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왜냐하면 한국의 범종은 양각돼 있는 조각도 아름답지만 특히 음통이 잘 설계돼 있어 다른 나라의 범종에 비해 타종 후 소리의 여운이 가장 길 뿐만 아니라 용뉴도 특이하기 때문이다.
 
 

 
해거름이 절 앞 吾魚池의 수면 위로 깔리기 시작했다. 오어지를 남북으로 잇는 구름다리에도 시나브로 땅거미가 내려앉기 시작한다. 물비늘만 저녁햇살에 반짝거릴 뿐 주위가 움직임을 멈춰 선듯 평화로운 광경이다. 오어사와 오어지를 뒤로 하면서 내려앉는 땅거미와 함께 이번에 우리 내외가 어버이날을 맞이해서 장인 장모님을 모시고 한 짧은 2박 3일 간의 여행도 막을 내렸다.
 
2021. 5. 6.
오천 오어사에서 草稿
雲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