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30

6⋅25전쟁 초기 중국의 군사적 대응−군대이동과 배치를 중심으로−

6⋅25전쟁 초기 중국의 군사적 대응 −군대이동과 배치를 중심으로− 서 상 문(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1. 머리말 한반도에서 6⋅25전쟁이 발발했을 때 중국정부는 이와 무관한 듯이 침묵을 지켰다. 중국정부가 6⋅25전쟁에 대한 자국의 공식적인 입장을 처음으로 표명하게 된 것은 3일 뒤인 1950년 6월 28일 정무원 총리이자 외교부장인 周恩來(1898~1976)의 논평이었다. 그는 한반도 파병과 미 제7함대의 대만해협 진주를 명령한 미국의 트루먼(Harry S. Truman, 1884~1972) 대통령과 그 정부를 겨냥해 6⋅25전쟁은 미국이 “이승만 괴뢰정부”를 교사해 일으킨 전쟁이자 중국을 침략하기 위한 음모라고 단정했다. 周恩來의 논평은 같은 날 소집된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으로 약함) 중앙위..

6․25전쟁과 臺灣‘안전’의 상관관계 論析

6․25전쟁과 臺灣‘안전’의 상관관계 論析 서상문(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목 차 들어가는 말 Ⅰ. 대만‘안전’의 불확실성 1. 고립무원의 中國國民政府 2. 중공의 대만 재 공격준비와 그 시도 3. ‘해방’인가? ‘방어’인가? Ⅱ. 대만‘안전’의 국제적 변수―김일성의 남침과 毛澤東의 失機 1. 미국의 전쟁개입 및 ‘臺灣地位 未定論’에 대한 중공의 인식 2. 毛澤東의 전략수정―대만‘해방’전쟁에서 ‘반제’영토수호로 3. 미국의 對대만정책 변경 나오는 말 들어가는 말 ‘일 야 포르모사’(Il Ha Formosa). 16세기 西勢東漸의 시대에 포르투칼인들이 ‘아름다운 섬’이라는 의미로 붙인 臺灣의 미칭이다. 20세기 맥아더(Douglas MacArthur)는 이 아름다운 섬을 불침항모, 즉 “가라앉지 ..

중국 國․共내전시기 金門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

중국 國․共내전시기 金門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 서상문(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목차 들어가는 말 Ⅰ. 배경 : 국․공내전의 끝자락 Ⅱ. 金門島의 전략적 중요성 Ⅲ. 전투의 발발 및 경과 Ⅳ. 승패요인 분석 Ⅴ. 역사적 파장 맺는 말 들어가는 말 현대 세계전사에서 국지적인 전투가 전체 전쟁의 판도를 뒤집는다거나, 심지어 한 시대 역사의 흐름을 바꾼 경우가 적지 않다. 가깝게는 한국전쟁 초기 多富洞전투가 그랬고, 멀리는 제1차 세계대전시의 베르됭전투(Battle of Verdun)가 이에 속한다. 전자는 초기 기습남침의 여세를 몰아 1950년 8월 초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고 내려온 북한군의 공격을 국군 제1사단이 50여 일에 걸친 사투 끝에 막아낸 전투다. 다부동전투는 대구 낙동강 방어선 돌파를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