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에 재촉구하는 국어학계의 분발
다시 한글날이다. 새삼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의 위대함을 느낀다. 한글날을 맞아 한글학자들에게 사라진 한글음의 자모들을 되살리고 자신들이 엉망으로 만들어놓은 한글외래어 표기체계를 바로 잡기를 촉구한다.
나는 지금까지 세계의 여러 언어들 중에 한글을 제외하고 7개국어(영어, 독일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몽골어)를 공부해본 바 있다. 물론 다 잘 하는 건 아니고 조금씩 맛을 봤을 뿐이다. 이러한 경험이 있는 나뿐만 아니라 세계 유수의 언어학자들도 공통적으로 세계의 수많은 언어들 중에 한글이 가장 우수한 과학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문자의 심미적 측면과 표기의 간이성 뿐만 아니라 음성적인 측면에서도 대단히 뛰어난 언어다. 한글과 언어계통 및 체계에서 완전히 다른 인도-유럽어의 주요 언어들은 당연하고, 같은 우랄-알타이어(이 두 언어계통의 특징은 각기 조금씩 다르고, 한글은 이 두 언어의 특징들을 모두 갖고 있어 통상 우랄알타이어라고 불린다) 계통의 언어들 중에서도 한글은 여타 언어들과 단연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뛰어난 언어체계를 갖추고 있다. 예컨대 몽골어와 일본어는 각각 단점이 너무 많다. 우선 몽골어는 발음하기가 너무 어렵고(독일어와 러시아어음이 많아 발음이 쉽지 않음), 또 표기도 과거 티베트의 승려로서 몽골제국의 국사역할을 한 파스파가 만들어준 구몽골어는 폐기 됐듯이 가로세로 쓰기가 불가능하고, 신몽골어는 러시아의 끼릴 문자를 차용해서 쓰고 있는데 자기 나라 문자가 아니다. 일본어는 우리나라 말과 가장 유사한 언어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이 말은 음절(syllable)의 조합으로 발음할 수 있는 것이 기껏해야 총 120개 정도밖에 되지 않아 2500가지가 넘는 한글에 비교하면 이도 나지 않고, 더군다나 한자를 빼고나면 일상 언어생활이 아주 불편하거나 아예 불가능한 언어체계를 가지고 있다.
만약 우리가 한글 창제 후로 한동안 썼던 발음과 표기들 예컨대 ‘ㅸ ㆄ ᄬ ㅱ’( 이 네 글자 중 실제로 사용된 것은 순경음 비읍이고 나머지는 훈민정음 해례본에만 나와 있다)의 순경음 중 ㅸ과 순치음 등등 그리고 한글학계에서 1933년에 없애버린 "아래 아" 등을 지금 다시 부활해서 쓴다면 우리의 발음과 표기 가능한 폭은 훨씬 더 넓어질 것이다. 대략 16C까지 없어지지 않고 사용된 세모꼴의 순치음과 표기를 그대로 다시 쓴다면 아라비아어에선 가능한 바람소리까지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기도 가능하고 그 시절엔 실제로 가능했던 게 우리 한글이다. 이 음들을 다시 되살리면 지금 우리가 발음은 되지만 표기가 불가능한 소리(예컨대 영어의 F, V사운드, 중국어의 chi, zhe, zhi 소리 등등 같은 순치음과 설치음, 쌍순음, 설첨음과 설근음, 설면음 따위)도 가능하고, 심지어 독일어의 웁라우트 일부, 러시아어의 з와 ж음도 표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한글학계에서는 사라진 문자들을 국가적 차원에서 복원시키는 과제를 개시해야 한다. 또한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의 외국어 표기를 너무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놓은 것은 바로 한글 학자들이 아닌가! 한글날을 맞이하여 크게 반성하고 또 한번 복원과 재정비를 촉구한다. 동시에 일반인들도 어원을 잘 모르는 외래어를 습관적으로 잘못 쓸 게 아니라 바른 한글사용에 노력할 일이다. 이에 관한 많을 사례들 중 아래에 간단한 예를 두 가지 들어놨다.
2022. 10. 9. 06:17
고향에서
雲静
https://suhbeing.tistory.com/m/797
https://suhbeing.tistory.com/m/785
'더불어 사는 삶 >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향신문사 사우회 단톡방에 올린 글 : 중국판 12.12사태 소개 (1) | 2025.01.05 |
---|---|
모 중앙 일간지 사우회 단톡방 내 카톡대화 (2) | 2025.01.04 |
가짜뉴스의 또 다른 사례 (1) | 2024.12.14 |
참전과 파견 (1) | 2024.10.31 |
생각 좀 하면서 살자! (2)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