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32

바람

바람 화가는 바람을 그릴 수 있을까요? 지휘자는 바람을 연주할 수 있을까요? 시인은 바람을 노래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바람을 만질 수 있을까요? 화가는 바람을 그리는데 바람에 하늘대는 연꽃을 그렸다. 바람에는 붓길도 닿지 않았다. 지휘자는 바람을 연주하는데 바람에 우는 문풍지 소릴 들었다. 바람에는 지휘봉도 닿지 않았다. 시인은 바람을 시로 쓰는데 바람에 일렁이는 허공을 봤다. 바람에는 눈길도 닿지 않았다. 우리 모두는 바람을 만져보기 위해 두 손을 벌렸다. 바람에는 손길도 닿지 않았다. 모두 바람은 보지 못하고 연꽃과 문풍지와 허공만 봤다. 바람은 우리들 마음 안에 있었습니다. 그윽이 있었습니다. 2014. 6. 28. 05:37 초여름 새벽 창문에 부딪히는 바람 소릴 듣고 雲靜

일본인의 논리구조와 아베 총리의 논리

일본인의 논리구조와 아베 총리의 논리 서상문(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원) 언어는 사고를 규정하고 사고는 언어를 낳는다. 일본인은 일본어에서 사유의 틀을 제공받고 일본어로 생각을 표현한다. 일본어는 한자 읽기와 뜻풀이의 자의성에서 알 수 있듯이 다의성이 많은 언어다. 이는 일본어를 배우는 외국인에게 어렵게 느껴지는 점임과 동시에 묘미를 느끼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일본어에서 하나의 한자에 다양하게 읽는 방법이 있는 것도 그 중 한가지다. 예컨대 生이라는 한자는 음으로 읽는 음독과 뜻으로 읽는 훈독 두 가지로 읽으면 세이(せい), 쇼우(しょう), 끼(き), 우무(うむ), 우마레루(うまれる), 나마(なま), 이끼루(いきる), 이까스(いかす), 오우(おう), 하에루(はえる), 하야스(はやす) 등등 무려 1..

靑巖 박태준의 군인정신과 기업가정신의 상관성 연구

靑巖 박태준의 군인정신과 기업가정신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Mind and Entrepreneurship of POSCO Founder Tae-Joon Park) 서 상 문 1) 배 종 태 2) 차 례 Ⅰ. 머리말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2. 연구의 주요내용 3. 연구방법과 기대성과 Ⅱ. 군인정신과 기업가정신의 정의와 특성 1. 군인정신의 정의 2. 기업가정신의 정의 3. 군인정신과 기업가정신의 유사점과 차이점 Ⅲ. 청암의 군인정신과 기업가정신의 형성 과정 1. 청암의 군인정신 형성 2. 청암의 기업가정신 형성 Ⅳ. 청암사상의 특성 정립과 체계화 1. 청암의 군인정신과 기업가정신의 유사점 2. 청암의 군인정신과 기업가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