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는가?/짧은 글, 긴 생각

진정한 성공의 의미와 그 조건

雲靜, 仰天 2015. 5. 12. 17:55

진정한 성공의 의미와 그 조건

 

서상문(환동해미래연구원 원장)

 

우리는 약삭 빠른 사람이 성공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최소한의 정의감이 실종되고 공동체의식이 희박한 사람들. 즉 남이야 어찌 되든 나 혼자만 잘 살고 출세하면 그만이라는 생각에 차 있는 인간형이 그들입니다. 그들은 대개가 가진 이들입니다.

 

가진 이들이라고 해서 모두 다 정의롭지 않다거나 바르게 살지 않는 게 아닙니다. 그것이 어떠하든 분명한 것은 현대사회의 사회 시스템 자체가 가진 이들에게 유리하게 만들어져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국사회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각도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법률내용, 행정시행의 대상, 언론의 지향, 교육 구조, 경제작동 메카니즘 등등 현대사회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수 많은 상부구조들이 가진 이들이거나 혹은 그들과 공생하고 있는 계층에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지요.

 

 

같은 하늘 아래지만 서울 땅엔 내집 마련은 꿈도 꾸지 못하고 하루 끼니를 걱정하면서 겨우 살아 가는 절대 빈곤자들이 있는가 하면, 아파트 한 채 가격이 수십 억원이나 하는 집을 가진 부자들도 공존하고 있다. (사진 출처 : 동아일보)

 

그런 구조는 약삭 빠른 사람들이 활개 치는데 용이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더군다나 사람들도 무엇을 위한 성공인지 잘 생각해보지도 않고 무작정 성공만 쫓아가는 사람들이 태반입니다. 삶의 진정한 성공이란 사회적 성공이 아니라면 그런 삶을 희구하는 사람들은 영혼이 없는 삶을 사는 시대에, 영혼 없는 사람들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러나 영혼 없이 약삭 빠름만으로는 삶의 진정한 성공을 거두기는 어렵습니다. 순수하고 영혼이 맑은 사람만이 삶에서 진정한 성공을 거둡니다. 말 없는 자연과 깊이 교감하고 말 많은 인간세상에서도 순수성을 잃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면 그렇게 될까요? 만물의 생명을 중시하는 마음가짐으로 떨어지는 꽃잎사귀 하나에도 아픔을 공유하고자 할 때, 또 사익 보다 공익을 먼저 생각하고, 강자 보다 약자를 먼저 배려하고, 가진 이 보다는 없는 이들의 처지를 먼저 헤아리고, 마주하고 있는 상대가 바로 나라는 마음가짐이 있을 때 가능해집니다.

 

2015. 5. 6

雲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