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티베트 관계 2

티베트 '3.10봉기' 제60주년을 맞아

티베트 '3. 10봉기' 제60주년을 맞아 3월 10일, 오늘은 티베트 '3.10봉기' 제60주년이다. 60년 전인 1959년 이날, 티베트에선 '3.10 봉기'가 일어나 티베트민중들이 티베트를 점령한 중국군에 저항하고, 달라이 라마는 히말라야를 넘어 언제 귀국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기약 없는 인도망명길에 올랐다. 중국군의 무자비한 이 진압으로 최소 100만명 이상의 동족이 학살당한 티베트인들은 자유와 독립의 열망을 담아 이 날을 '티베트의 날'로 기념해오고 있다. 장장 2600km나 되는 설산의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인도로 망명한 달라이 라마는 인도 서북부 오지의 다람살라는 곳에서 망명정부를 차렸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는 곧 아흔이 가까워 오고 있도록 쉼 없이 비폭력평화투쟁을 계속해오고 있다. 중국..

1959년 이전 중국의 티베트 정책 : 주권확립에서 사회주의개혁으로

1959년 이전 중국의 티베트 정책 : 주권확립에서 사회주의개혁으로 서상문(고려대학교 한국전쟁 Archive 연구교수) 1950년 10월, 티베트를 점령하기 시작한 중국정부는 이듬해 5월 티베트의 카샥 행정부와 이른바 ‘17개조 협정’을 맺음으로써 티베트를 정식으로 중국의 영토에 편입시키면서 법률적인 형식논리로는 티베트에 대한 ‘주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17개조 협정’에는 티베트정부가 독자적으로 개혁을 추진할 수 있고, 이 개혁에 대해 중국당국의 간섭을 받지 않는 걸로 돼 있었다. 하지만 중공은 신정체제의 수장인 달라이 라마에게 초기 잠시 동안은 티베트 통치권을 인정했지만 그의 주도하에 티베트를 개혁할 기회는 주지 않았다. 오히려 1951년 5월부터 달라이 라마 정부는 라싸 주재 중공 군정당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