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서상문(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1950년 10월 15일, 태평양 상의 절해의 고도 웨이크 섬. 오전 7시 36분부터 시작된 회담에서 중국이나 소련의 개입 가능성을 묻는 트루먼 대통령의 질문에 맥아더 원수는 주저 없이 첫 마디에 “아주 적다”(Very little)고 잘라 말했다. 또 만일 중공군이 평양으로 밀고 내려올 경우 “전례 없는 대학살이 그들을 기다릴 것”이라고 역설했다.
중국의 군사개입 가능성을 자신 있게 부정하고, 미국을 움직이는 정치, 군사, 외교의 실력자들이 모두 그의 말에 동의하고 있을 때 한반도에서는 10월 11일 밤부터 도강을 개시한 중공군 선발대가 맥아더의 호언장담을 비웃듯 압록강 건너 북한의 집결지에서 위장을 끝내고 있었다. 선발대에 이어 19일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된 중공군의 북한전개는 전쟁 전기간 동안 수시로 이루어져 많을 땐 최고 17개 군단 120만 명까지 증강될 때도 있었다.
첫 도강은 毛澤東의 특별지시에 따라 압록강 중하구의 長甸河口, 輯安, 安東(현 丹東) 세 지점에서 각기 매일 늦은 오후 어스름이 질 녘부터 시작해 다음날 새벽 3시까지 완료한 후 철저히 은닉했다. 또 일부 병력은 북한당국에 요청해 긴급히 제조한 북한군 군복과 군장을 착용하고 들어왔다. 20만이 넘는 대군이었음에도 미군의 정보망에 잡히지 않았던 이유였다.
제1차로 북한에 진입한 병력은 4개 군단(제38․ 제39․ 제40․ 제42군단), 3개 포병사단(제1․ 제2․ 제8사단)과 여타 공병 등의 특종병 부대 25만 여명이었고, 22일까지 각기 희천-구성-운산-덕천 선 이북지역에 배치를 완료하고 아군의 접근을 기다렸다.
또 10월 23일부터 기동을 개시한 제50군단과 제66군단이 제1차 전역(10월 25일~11월 6일) 중에 더 들어옴으로써 병력은 총 6개 군단 18개 보병사단과 3개 포병사단 약 29만 명으로 늘어났다. 중공군총사령관은 칭병으로 극구 참전을 고사한 천재형의 군사 전략가인 林彪의 대타로 毛澤東에게 전격 기용된 52세의 백전노장 彭德懷였다.
중공군의 참전은 동북지역으로 군사이동을 시작한 7월 중순부터 준비되긴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김일성의 요청에 응한 毛澤東의 결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결단이란 毛澤東이 중공 당내 다수의 참전반대자들을 설득 혹은 회유해 반대자들이 우려한 소련공군의 지원 없이도 싸우겠다고 결정한 것을 말한다. 애초 중공군의 참전 없이 전쟁을 치르려고 했던 김일성은 인천상륙작전 직후 서울탈환이 목전에 당도했을 때까지도 중국의 파병을 강하게 반대했었다.
9월 21일 소집된 북한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박헌영, 김두봉 박일우 등 당내 주요 지도적 인물들이 찬성한 것과 달리 그는 중국에 군사지원을 요청하기를 거부했었다. 중공군이 한반도에 발을 붙이면 중공이 육성한 연안파들이 득세할 수 있는 배경이 될 것이고, 그것은 곧 권력분배 문제에서 김일성 자신과 그의 추종자들이 당내에서 정치적 입지가 줄어들 수 있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이 탈환되자 결국 그는 마음을 고쳐먹고 중국의 파병을 요청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중공군의 한반도 참전은 여러 복합적인 결정요인들과 목적이 존재했지만 크게 목적과 목적의 실현 수단 두 가지로 수렴된다.
첫째, 북한정권의 붕괴방지다. 이는 미국이 전쟁을 중국으로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예단한 毛澤東이 脣亡齒寒의 관점에서 중국의 안보와 직결된다고 본 참전결정요인이다. 북한정권을 기사회생시킬 수단으로 그는 자국 영토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국경너머의 일정한 전장 공간, 즉 글라시스(Glacis)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현지방어에서 한반도 전진공격방어를 취하고자 한 동기가 있었다.
둘째는 국민당잔당의 척결, 경제회복 등의 국내 정치적 목적달성을 위한 국외전장화, 그리고 공산주의 약소국을 도와야 한다는 중화주의적 대국의식과 과거 중국혁명에 도움을 준 북한공산주의자들에게 부채를 갚아야 한다는 보은관념이 결합된 심리가 참전동기로 작용한 것이다.
참전의지만 가지고 개입해선 안 될 시기의 대외전쟁, 그것도 세계 최강군인 미군과의 전쟁에 함부로 뛰어들 수 없는 법. 또 나름대로의 확실한 승산이 서지 않으면 모험을 벌일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일찍부터 미군을 “종이호랑이”(paper tiger)로 여긴 毛澤東은 대규모 초전 기습으로 미군에 타격을 입히면 전쟁의 주도권 확보가 가능하다고 봤고, 미군의 현대 무기 장비에 대해선 恒河沙 같은 人命과 인간의 정신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과신했던 것이다.
위 글은 내용이 축약돼「중공군 개입」이라는 제목으로 2010년 5월 17일자『朝鮮日報』A6면에 실렸습니다.
'앎의 공유 > 한국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진핑 중국 국가부주석은 한국전쟁 발발의 진실을 바로 말해야 한다 (0) | 2012.03.31 |
---|---|
중공군의 4~6차 공세와 서울 재수복 (0) | 2012.03.31 |
중공군의 3차 공세와 1․4후퇴 (0) | 2012.03.31 |
毛澤東,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감행 예측 : 전력열세 북한군 전의 꺾은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0) | 2012.03.30 |
毛澤東은 인천상륙작전을 사전에 예상하고 있었다 (0) | 2012.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