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투사의 아들로 태어나 요절한 천재 가수 배호의 일생
독립투사의 아들로 태어나 요절한 천재 가수 배호의 일생
내가 현대 한국의 그 많은 가수들 중에 첫손가락 엄지로 꼽는 이가 있다. 여자 가수로는 이미자요, 남자 가수로는 배호다. 이 평가는 나 혼자만 그런 게 아니라 지긋한 나이의 트롯트 팬이라면 남자나 여자나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오늘로서 어느덧 49주기가 되는 배호의 사망일을 또 다시 맞으니 29세라는 나이에 생을 마감한 그의 요절이 새삼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내게 그의 노래들이 늘 애절하게 들리는 심리적 이유다.
나는 원래 젊은 시절부터 애늙은이나 된 듯이 배호 노래를 좋아했다. 생애 두 번째로 취직이 돼 일한 곳이 마침 용산의 삼각지였다. 그곳엔 배호 노래비가 세워져 있어 출퇴근길에 오가면서 그를 자주 떠올리곤 했다. 자신을 스타덤에 올려놓았던 명곡 ‘돌아가는 삼각지’의 첫 소절에 나오는 가사 “삼각지 로타리에 굳은 비가 오는데 잃어버린 그 사랑을” 중의 삼각지 로타리는 이 노래가 히트를 친 해인 1967년에 만들어졌다가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남아 있던 원형의 입체교차로를 말한다.
나도 1978년부터 시작된 서울생활 때 하숙집이 있던 노량진(나중엔 사당동으로 옮김)과 종로를 오가던 버스 안에서 매일처럼 봤다. 그 로타리의 입체교차로는 1994년에 철거돼 지금은 흔적도 없지만 당시를 회상하면 늘 배호가 떠오른다.
그런데 내가 사람들에게 꼭 알리고 싶은 사실이 있다. 대중가수로서의 배호는 한국에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이름이 나 있으니 그의 노래와 음악성을 굳이 내가 자세하게 거론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가 사람들이 상상도 못할 정도로 가슴 아프게 살다 간 인물이었으며, 무엇 보다 그의 집안이 독립운동 투사의 집안이었다는 사실이다.
배호는 키 174cm에 체중 65kg으로 늘씬한 몸매에 늘 반듯한 정장을 즐겨 입었던 귀공자 타입의 미남형이었지만 핸섬한 얼굴과 부티 나는 금테 안경에 가려진 그의 삶은 그의 이미지와 전혀 딴 판이었다. 그가 어떻게 태어나, 어떻게 살다가 갔는지 고통과 애통함으로 점철된 그의 삶을 비춰보려고 한다.
배호의 부친 배국민(1912~1955)은 평안북도 철산 출신으로 임시정부의 광복군(중국 산동성에 본부를 둔 제3지대) 요원이었다. 1942년 4월 24일, 배호는 부친과 신의주 출신의 모친 김금순(1918~1995) 사이에 장남이자 맏이로 태어났다. 이름은 처음부터 배호는 아니었다. 태어나서는 "만금"(裵晩今)으로 이름이 지어졌다.
그가 태어난 곳도 일제 치하의 한국이 아니라 중국 산둥(山東)성 省都인 지난(濟南)이었다. 배호는 부친의 독립운동 때문에 중화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었으나 1945년 8월 광복을 맞아 부모님을 따라 환국한 뒤 1948년에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다. 배호의 큰아버지 배경진(1910~1948)도 광복군이었던 독립운동가 집안이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배호의 형제들은 일찍 죽었고, 나중에 11세 아래의 여동생이 태어나기 전까지는 그 혼자서 자랐다. 남동생 배천금은 유아 때 사망했으며, 1953년에 태어난 여동생 배명신도 2003년 50세로 사망했으니 오래 살지 못한 셈이다.
장남으로 태어난 배호 역시 그 시절 다른 많은 독립투사의 자녀들이 그랬던 것처럼 찢어지게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 자랐다. 광복 후 중국에서 귀국한 그의 부모는 인천의 한 수용소에서 생활하다가 1946년 4월부터 서울 창신동의 일제 적산가옥에서 살았다. 부모의 손에 이끌려서 귀국한 어린 배만금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다시 부모를 따라 부산으로 가서 피난생활을 하기도 했다.
휴전 후 다시 서울로 올라온 배호는 1955년 서울 창신국민학교를 간신히 졸업하고 그해 8월 21일 부친의 사망으로 가족을 따라 또 다시 부산으로 내려가서 모자원에서 지냈다. 배호는 삼성중학교에 입학해 1학년 때 배신웅(裵信雄)으로 개명했고, 2학년 때인 1956년 중퇴하고 다시 서울로 되돌아왔다.
중학교 중퇴 이후에도 계속 가난에 시달리다가 서울로 올라온 배호는 중국 지난대학 음악과 출신으로 작곡가이자 MBC문화방송 초대 악단장을 지낸 넷째 외숙부 김광빈의 수하에서 드럼을 배워 대중음악을 시작하면서 김광빈악단의 드럼 주자로 미8군 무대와 방송국 등에서 활동했다. 배호는 12인조 ‘배호와 그 악단’ 밴드를 결성해 서울 종로 낙원동의 프린스 카바레(cabaret) 등에서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다.
1957년에서 1964년까지 배호는 일본 메이지(明治)대학 문예과 출신의 바이올린 연주자로서 서울중앙방송(KBS전신) 악단장과 1964년에서 이듬해 1965년까지 TBC 동양방송 악단장을 지낸 셋째 외숙부 김광수 그리고 넷째 외숙부 김광빈 악단, 동화, 천지, MBC악단, 김인배 악단 등에서 드럼을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배호의 외가에는 이들 뿐만 아니라 둘째 외숙부 김광옥도 일본에서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유명 교향악단의 지휘자로 활동했다.
이처럼 네 명의 외숙부들 중 세 분이 음악 전문가였던 사실을 보면 배호의 음악적 재능은 외가 쪽에서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가 음악에 천부적 재능을 타고난 것임을 알 수 있는 게 학교를 다닌 것이라곤 중학교 중퇴가 고작이어서 음악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 악보를 잘 읽지 못했음에도 소리만 듣고도 바로 연주를 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배호가 가수로 데뷔한 것은 ‘굿바이’를 불러 데뷔한 1963년 21세 때였으며, 이 곡에 이어 바로 ‘사랑의 화살’도 발표됐지만, 본격적인 가수생활로 들어간 것은 그 이듬해 스물두 살 때인 1964년에 ‘두메산골’과 ‘굿바이’로 음반을 내면서부터였다.
그의 목소리는 그때나 지금이나 아무도 흉내를 내지 못하는 독특한 음색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대중에게 쉽게 각인되기 시작했다. 데뷔 음반으로 발매된 ‘두메산골’은 ‘도라지’란 말을 외국어처럼 살짝 굴리는 게 정말 독특했다. 배호 자신도 “제 창법이 ‘참 건방지게 멋있다’는 말을 들었어요”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반대로 기성 대중음악계의 텃세도 없지 않았다. 그가 데뷔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일보의 정홍택이라는 기자는 배호 노래를 “깡패노래”라고 혹평하기도 했다. 이 소릴 들은 배호는 한 동안 깊은 고민에 빠진 적도 있었다. 암튼 넷째 외숙부 김광빈이 지어준 배호(裵湖)라는 예명을 쓰기 시작한 것은 이 때부터였고 그가 안경을 쓰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드럼을 배워서 드러머 생활이 시작된 시절이기도 했다.
그런데 1966년, 배호에게 시련이 닥쳤다. 생각지도 않게 신장염이 발병한 것이다. 치료여건이 요즘 같지 않던 시절이었다. 당시는 의료기술이나 약이 요즘처럼 발달한 시절이 아니었으니 쉽게 낫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노래를 멈추지 않았다.
그 때부터 사망할 때까지 배호는 쉬지 않고 신곡을 냈다. 그에게 노래는 생명과도 같은 것이었고, 삶의 전부였다. 하지만 지병은 더 깊어만 갔고 몸 상태는 날이 갈수록 악화됐다. 신장염이 발병했음에도 그해 그는 ‘황금의 눈’(지구 레코드), ‘홍콩 66번지’(신세기 레코드) 두 곡을 더 취입했다.
이듬해 1967년 3월, 장충동 녹음실에서 취입했을 때는 한 소절 부르고선 털썩 주저앉았을 정도로 건강이 악화되고 있었다. 그런 상태에서 그해 25세의 나이로 그가 병상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불러 취입한 신곡이 바로 배상태가 작곡한 불세출의 ‘돌아가는 삼각지’(아세아 전속)였다. 이 곡을 작곡한 배상태가 이 노래를 부를 적당한 가수를 몇 년간이나 찾아도 찾지 못하다가 병상에 누워 있던 배호를 찾아가 사양하던 그를 설득해 병석에서 부르게 됐다는 가슴 아픈 뒷얘기가 있다.
그런 만큼 이 노래는 앨범이 무려 20만 장이나 팔려 크게 히트함으로써 배호를 톱 가수 반열에 올려놨을 뿐만 아니라 음악 차트 사상 드물게 20여주 연속 1위를 기록한 그의 대표곡이다. 나도 이 노래를 즐겨 부르곤 하지만 그 애절함과 허무감은 절절이 가슴에 맺히게 하는 곡이다.
배호는 가수 사상 드물게 첫 히트곡 1위에 오른 뒤 4개월 만에 MBC방송 10대 가수로 선정됐다. ‘돌아가는 삼각지’ 외에도 ‘누가 울어’, ‘안개속으로 가 버린 사람’, ‘안개 낀 장충단공원’ 등이 연달아 히트하면서 배호는 20대 중반의 젊은 나이에 1967년 방송사들이 수여하는 가수상을 휩쓸었다.
돌이켜 보면 1967년에서 1968년, 즉 25세에서 26세의 2년간이 가수로서는 가장 영예로운 시절을 보낸 셈이다. 여러 언론사들이 주최한 가요행사에서 가수상도 수상했거니와 MBC방송 10대 가수 외에도 TBC방송 가요대상도 받았으며, 치솟는 인기 덕분에 각종 영화에도 출연했으니까.
1971년 10월, 배호는 라디오 이종환의 별이 빛나는 밤’의 출연을 마치고 귀갓길에 비를 맞고 갔다가 감기에 걸려 그만 신장염이 재발돼 병원에 재입원했다. 병세가 악화되었지만 그는 병상에 누워서도 노래를 취입했다. 그렇게 해서 태어난 노래가 ‘영시의 이별’과 ‘마지막 잎새’ 두 곡이다. 헐떡이는 숨결과 끓는 가래가 그대로 느껴지는 최후의 노래였다. 야만의 시대여서 그런지 ‘영시의 이별’은 통행금지 시간에 이별을 하는 내용이 있다는 이유로 금지곡이 돼버렸다.
자신이 처한 삶의 고통과 그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서였을까? 배호가 부른 노래들은 유독 이별, 고독, 비통한 슬픔, 배신, 또 이를 나타내기 위해 비, 안개, 낙엽, 파도 등등 쓸쓸하고 고독한 이미지들이 노랫말로 많이 나온다. 그가 부른 총 200여 곡의 노래들 중에 비 내리는 가사가 나오는 것은 31곡, 안개가 들어가 있는 노래가 13곡이나 된다고 한다.
죽음의 그림자가 자신의 주위를 어른 거려도 배호는 노래를 위한 열정을 접지 않았다. 어쩌면 노래가 있었기에 삶의 리비도가 불타고 있었을 지도 모른다. 그는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면서도 휠체어에 의지해서까지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그것은 자신의 음악세계를 위한 고독한 투혼이었다. 어떨 때는 너무 고통스러워 음악만 틀어놓고 그냥 무대에 우두커니 서 있다가 내려오기도 했지만, 그는 “죽어도 노래하다 죽겠다”면서 공연 출연도 중단하지 않았다.
1971년 7월 어느 날, 배호는 녹음실에서 건네받은 가사를 보고 잠시 상념에 잠기더니 이윽고 비장한 각오로 마이크를 잡고 신곡을 불렀다. ‘마지막 잎새’였다. 그가 부른 노래 가사에는 ‘안녕’, ‘마지막’, ‘이별’ 등의 단어들이 유달리 많듯이 ‘마지막 잎새’ 가사에도 말 그대로 이 노랫말이 나온다. ‘마지막 잎새’는 어쩌면 한 발 한 발 죽음이 다가오던 자신의 운명을 예감하고 불렀던 노래일 수도 있다. 아니나 다를까 이 노래가 유작이 됨에 따라 ‘마지막 잎새’는 결국 배호 자신을 얘기한 셈이다.
근대 미국의 소설가 오 헨리(O. Henry, 1862~1910)가 1905년에 발표한 인도주의적 단편소설의 제목도 마지막 잎새다. 폐렴으로 죽음을 앞둔 소녀의 절망적 상황을 안타깝게 본 어느 무명화가가 병상에 있던 소녀를 위한 희생적인 사랑이 주제다.
그런데 인생의 최후 단계에서 배호에게 오 헨리의 소설처럼 가슴이 먹먹하게 슬픈 일이 벌어진다. 그가 입원해 있던 병상 곁에는 1년 동안 떠나지 않고 간호해 주던 7세 연하의 가슴 아픈 사연의 주인공이 되는 여성이 있었다. 배호보다 7세 연하였으니 1949년생으로 당시 나이는 22세였다. 그녀는 대구 공연 때 배호의 팬으로 만나 배호와 장래까지 약속한 사이였다고 한다. 그러나 두 사람의 사랑은 오래가지 못했다.
숨을 거두기 하루 전, 배호는 그날도 병상 맡에서 자기 곁을 지켜주던 그녀에게 자신의 손목시계와 반지를 건네주면서 자기를 떠나라고 했다. 배호는 한사코 “안 가겠다”고 울부짖던 그녀를 폐가 끊어질 듯한 고통을 참으면서 설득해 눈물로 고향에 돌려보냈다고 한다.
당시 두 사람의 심정은 말로 표현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단장의 아픔! 文辭에 취약한 나로선 그 외에 달리 다른 표현을 찾을 수 없다. 그녀가 살아 있다면 지금 대략 일흔 초반의 나이일 것이다. 어느 곳에선가 지금도 배호 노래를 들으며 살고 있을 지도 모른다. 눈을 감기 전까지는 어떻게 그의 가슴 시린 연인 배호를 잊을 수가 있겠는가?
하늘이 낳은 불세출의 가수 배호는 그 해를 넘기지 못했다. 1971년 11월 7일, 배호는 결국 운명했다. 그의 나이 만 29세로 미혼이었다. 그가 가수로 활동한 기간은 열다섯이 되던 1957년부터 스물아홉 살이 된 1971년까지 14년이었지만, 이 14년 중 그가 본격적인 가수 생활을 한 것은 9년뿐이었다. 나머지 5년은 드럼을 치는 캄보 밴드 ‘배호와 그 악단’ 생활을 한 것이다.
찰나 같은 이 짧은 9년 사이에 그는 10여 개 음반사에서 20여 장의 음반을 발매했다. 길지 않은 그 기간 동안 200여 곡을 남긴 열정과 투혼의 삶을 살다 간 한국 최고의 가수는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나의 주관적 판단이지만 1세기에 한 번 태어날까말까 한 불후의 명가수였다.
수많은 그의 팬들은 물론, 가요계의 여타 가수들도 배호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면서 눈물을 흘렸다. 평소 배호의 목소리가 좋아서 그의 노래를 즐겨 듣던 김세레나는 이제 더 이상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다며 그를 일찍 데려간 “하느님이 너무나 야속하다”며 눈물을 흘렸다.
누구보다 배호의 모친이 유달리 슬퍼했다. 병이 깊어가는 것을 알았는지 배호는 모친에게 효도를 못해드린 것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어머니 제 노래는 이상해요. 건강할 때는 히트가 안 되고 몸이 아플 때 취입한 노래가 히트 되거든요. 효도를 못해 드려서······”
이토록 효성이 깊은 효자였으니 그런 자식을 먼저, 그것도 몹쓸 병으로 떠나 보내는 부모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상실의 아픔은 말로 표현이 되지 않았을 것 같다. 아들 하나를 보고 유일한 낙으로 살아온 그였기에 슬픔은 모든 것을 잃은 듯이 극심했다. 모친은 1995년 9월 9일 73세로 사망할 때까지 아들을 가슴에 묻고 살았다. 일설에는 아들을 떠나보내고 난 뒤 그 후유증으로 정신병 증세도 있었다고 한다.
11월 11일, 서울 예총회관에서 치러진 배호의 장례식에 지금도 인구에 회자되는 일이 벌어졌다. 아래 사진에서 보이듯이 배호의 죽음을 안타까워한 젊은 여인들이 소복을 입고 고인을 기리느라 수백 미터나 늘어선 선 것이다.
이 진기한 광경은 배호의 요절을 안타까워한 그의 팬들의 애통한 마음들이 집단적으로 반영된 것임은 물론이지만, 아마도 여기에다 배호의 죽음이 있기 3년 전 그와 동시대의 인기 가수 차중락(1942~1968)이 27세의 젊은 나이에 뇌막염으로 먼저 요절한 일이 있어 대중가요 팬들의 슬픔이 더해져서 일어난 일이 아니었을까 싶다.
배호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의 신세계 공원묘지에 묻혔다. 그가 우리 곁을 떠난 뒤 꼭 10년이 흐른 1981년에 실시된 MBC특집 여론조사에서 배호는 ‘가장 좋아하는 가수’ 1위로 선정되었으며, 2003년 10월 정부로부터 옥관문화훈장이 추서된 데 이어 2005년 6월 ‘광복 60년 주년 기념 KBS 가요무대’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에게 가장 사랑받은 국민가수 10인’으로 선정되었다.
작년까지만 해도 ‘안개 낀 장충단 공원’을 기리는 장충단 배호가요제도 매년 열렸다. 이처럼 배호는 살아서도 그랬지만 죽어서 더 긴 생명력을 가지고 한국인들의 가슴속에 영원히 살아 있는 국민가수다. 조금 앙상블이 맞지 않는 비교지만 “서양에는 베토벤, 동양에는 배호”라고 불렸을 정도로 음악성과 사후 인기가 죽지 않는, 말 그대로 불후의 가수로 불러도 손색이 없다.
현재 서울 삼각지에는 배호의 대표곡 ‘돌아가는 삼각지’ 노래비, 배호길, 배호 동상 등 그의 기념물들이 있다. 그의 노래비는 전국에 총 네 곳에 세워져 있다. 서울 용산구 삼각지의 ‘돌아가는 삼각지’ 외에 그의 묘지에 ‘두메산골’이 있고, 경주시에 ‘마지막 잎새’와 강릉시에 ‘파도’가 서 있다.
배호가 떠난 지 올해로 49년! 올핸 코로나 사태로 인해 그렇지 못하지만 작년까지만 해도 전국 곳곳의 노래방에선 배호 노래가 들리지 않은 곳이 없었다. 그의 육성은 아직도 나의 영혼과 함께 한다. 그가 운명을 달리한 오늘도 저 혼자 돌고 있는 LP음반처럼 영혼을 긁는 배호에 대한 추상은 멈추지 않는다. 죽기 전에 불러 취입해놓고도 정식으로 발표는 하지 못한 미발표곡 '밤안개 속의 사랑', '지금은 가고 없는', ‘비린내 나는 부두’가 그를 사랑하는 팬들에게 남긴 마지막 선물이었다.
깊어가는 가을과 함께 그의 요절을 애달파 하는 나도 그의 팬의 한 사람으로서 '밤안개 속의 사랑'을 나지막이 불러본다. 불꽃처럼 살다간 그를 깊이 추모하는 마음으로...... 아마도 이 노래 가사 중 “깨어진 사랑에 가슴 아파서 정처 없이 걷는” 자는 죽기 하루 전에 눈물로 떠나보낸 연인과의 이별을 예감하고 얼마 안 있어 “깨어질 사랑”을 가슴 아파한 배호 자신이 아니었을까?
죽기 직전에 "나는 죽어서도 끝까지 노래하겠다"는 유언을 남겼듯이 배호는 지금도 천상에서 구성지게 노래를 부르고 있을 것이다.
https://m.blog.naver.com/bgb1234/222107905801
2014. 11. 15
삼각지 배호노래비 앞에서 초고
2020. 11. 7. 08:09
북한산 清勝齋에서 가필
雲靜